이마고 극장, 노엘 카우어드의 ‘디자인 포 리빙’ 공연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min read
이마고 극장이 노엘 카우어드의 1933년 희곡 ‘디자인 포 리빙’의 새로운 공연을 선보였다.
해당 작품은 원래 유머로 가득 차 있지만, 감독 제리 무아와드는 이번 리바이벌에서 작품의 어두운 측면을 부각시키는 대담한 선택을 했다.
이야기는 세 명의 주요 인물인 질다, 오토, 레오 간의 다양한 커플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막에서는 질다(케이틀린 로즈)가 화려하지만 낙후된 파리의 아파트에 오토(조 컬런)와 함께 거주하며, 레오(케이제이 스나이더)가 등장해 갈등을 일으킨다.
두 번째 막에서는 질다와 레오가 런던의 세련된 아파트에서 서로를 포옹하고 있고, 세 번째 막에서는 질다가 뉴욕에서 정장한 예술 딜러 어니스트(션 D. 루잔)와 살아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러던 중 제시할 이야기가 다시 전개되며, 레오와 오토가 그녀를 다시 불러들인다.
연극을 통해 등장 인물들이 점차 성공을 거두는 모습을 보여주며, 세트 디자인도 이를 반영한다.
무아와드, 노션, 짐 페레인붐이 디자인한 세트는 세 차례 서로 다른 배경에서 전개되며, 파리 아파트의 과거 수수한 색조에서 런던의 벨벳 가구와 풍부한 색으로 점진적으로 변모한다.
소설 속의 한 작품이 인물들의 정체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데 일조한다. 타마라 드 렘픽카의 ‘유능한 여성’이라는 작품이 무대에 등장하며, 성과 사회적 제약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카우어드가 동성애자였던 만큼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괴로움은 더욱 강조될 만하다.
연극의 대사들은 설득력 있는 불만을 담고 있으며, 특히 어니스트는 질다의 ‘아픈 마음의 고통’을 언급하고, 그녀는 인생에 대한 실망감을 내비친다.
레오는 어니스트에게 “왜 우리는 조용히 있어야 해요? 당신의 pompous한 도덕적 주장이 도시에 아무런 경쟁도 없이 충격을 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라고 격렬하게 반응한다.
아쉬운 건 такой контекст этого спектакля, a смелый мунал вид, не убирает яркие комедийные моменты; верно, что в исполнении 스나이더의 섬세한 레오 캐릭터는 굉장한 즐거움을 준다.
두 번째 막에서는 다이앤 슬램프가 등장하여 런던 아파트에서 우스꽝스럽게 뛰어다니며 환상의 신선함을 추가한다.
그녀의 등장으로 질다에게 ‘미스’라고 부르면서 강조하는 장면은 관객들을 폭소케 한다.
또한 마지막 막에서는 두 남자 캐릭터가 조화를 이룬 춤을 추며, 느끼는 즐거움은 단순한 웃음을 넘어서 더 깊은 감정을 이끌어낸다.
각 장면 사이에 즐거운 재즈 음악이 흐르며, 가벼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무아와드의 의도는 관객에게 단순한 웃음을 넘어 상징적인 메시지를 남기는 것이다. 카우어드는 인생에서 웃음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이미지 출처:orartsw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