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주국방을 위한 군비 지출 대폭 증가 선언
1 min read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은 수요일 Armed Forces Day 기념식에서 자주 국방을 위한 군비 지출을 대폭 증가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이 한국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한 대응으로, 고급 무기체계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통령은 이번 고려가 미국의 국방 약속에 대한 불신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의 무역 전쟁과 트럼프 대통령의 무기 거래 방식은 많은 한국인들 사이에서 미국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을 대폭 인상할 수 있거나, 중국에 대한 초점을 맞추기 위해 주한미군의 규모를 줄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동맹을 “견고하다”고 평가했지만,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독립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보다 독립적인 군대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군사력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강하고 자주적인 방어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평화와 번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자국의 힘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자주 국방 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내년의 국방 지출을 8.2% 증가시키고 AI 전투 로봇, 자율 드론 및 정밀 공격 및 방어 미사일 시스템과 같은 첨단 무기 체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방산 산업을 활성화하고 군인들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그들의 복무 조건과 보상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를 강조하는 진보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이는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그러나 한국의 군사 준비태세를 강화하는 것은 분명히 북한의 잠재적 공격에 대한 억지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북한은 이 대통령의 외교적 접근을 거부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과의 외교 복원을 시사하기도 했다.
미국의 안보 약속이 약화될 경우, 핵무기가 없는 한국의 안보가 심각하게 흔들릴 수 있다.
한국은 미국의 “핵 우산” 아래 있으며, 미국이 동맹국에게 공격이 있을 경우 강력한 보복을 약속해왔다.
현재 한국에는 약 28,500명의 미국 군 인력이 주둔하고 있다.
한미 동맹에 있어 민감한 사안 중 하나는 전시 작전 통제권 이양 문제다.
현재 미국의 지휘관이 한국 군의 전시 작전 통제를 담당하고 있다.
많은 한국인들은 자국 군의 전시 작전 통제권을 되찾는 것이 국가의 주권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는 이러한 전환이 동맹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 이양을 통해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엘브리지 콜비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은 3월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미국의 전력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의 방어 책임을 강화하는 데에 지지를 보냈다.
“한국은 북한에 대한 자주 방어에 대한 주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수요일 전시 작전 통제권 이양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며, “한국은 워싱턴과 함께 공동 방어 체제를 이끌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확고한 한미 동맹의 기반 아래, 결합된 방어 능력과 태세는 한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출처:indepen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