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에서 이민 단속 중 구금된 한국인 300명 이상, 한국으로 송환
1 min read
애틀랜타 — 조지아의 배터리 공장에서의 이민 단속 중 구금된 한국인 노동자 300명 이상이 목요일 오후 12시 이전에 애틀랜타를 떠나 한국행 비행기에 탑승했다.
이들 노동자는 조지아 남동부의 한 이민 구금 센터에서 애틀랜타로 이동하기 위해 버스를 탔으며, 비행기는 금요일 오후 한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미국 당국에 의해 석방된 구금자들은 한국인 316명, 중국인 10명, 일본인 3명, 인도네시아인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노동자는 현대의 대규모 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사바나 서쪽의 배터리 공사 현장에서 구금된 475명 중 일부였다. 이전에 이들은 285마일(460킬로미터) 떨어진 포크스턴에 있는 이민 구금 센터에서 구금되어 있었다.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은 목요일 기자회견에서 미국 비자 제도의 개선을 촉구하며,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를 망설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과 미국 정부 간의 논의에서 구금자들이 애틀랜타로 이동하는 동안 수갑을 차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 충돌이 있었다고 전하며, 한국 측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구금자들이 ‘자발적 출국’으로 떠나야 하는지, 강제 출국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논의 중 미국 당국은 구금자들의 소지품을 반환하기 시작했으나, 상황이 갑자기 중단되었다고 이 대통령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자들이) 자유롭게 귀국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지시했으며, 원치 않는 이들은 돌아가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지시에 따라 절차가 중단되었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의 의견을 듣기 위해 구금자들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를 중단했다고 언급했다.
결국, 한국인 중 한 명은 미국에 친척이 있어 남기로 결정하였다고 이 대통령은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규모 추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민 단속의 일환으로 이러한 근로자들을 포함한 여러 차례의 작업장 단속이 이루어진 바 있다.
이번 단속은 조지아의 최대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홍보된 제조 시설을 목표로 한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차 그룹은 이 76억 달러 규모의 공장에서 작년부터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약 1,200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의 사무실은 수요일 성명을 통해 “한국 공화국 및 현대와의 강한 관계가 40년이 넘게 이어졌다”며, 이를 강조했다.
“우리는 이 불행한 사건이 우리가 함께 만들어온 수십 년의 상호 이익 관계를 해치지 않도록 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재확인한 것에 감사드린다”고 대변인은 말했다.
한국인 구금의 경우 이민 단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일이 아니어서 이번 사건이 더욱 특별하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토요일에 공개한 영상에서는, 연방 요원들이 현장에 도착하여 노동자들을 줄 세우고 수갑을 채우고 다음에 버스에 탑승시키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미지 출처:kb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