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 ‘기와’ 카운트다운 시작
1 min read
한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가 신비로운 프로젝트 ‘기와’를 발표하며 블록체인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공식 세부 사항은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기와에 대한 추측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유동성과 한국의 웹3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비트는 기와의 티저 웹사이트를 조용히 출시했으며, 라이브 카운트다운과 함께 “단순한 형태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구조”라는 태그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세부 사항은 부족하지만, 이 사이트는 직접 UDC와 연결되어 있으며, 업계 인사들이 공식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이번 발표는 업비트가 단순한 거래소 역할을 넘어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에 나설 것임을 암시한다.
기와가 레이어-1(L1) 블록체인인지 레이어-2(L2) 확장 네트워크인지에 대한 공식 확인은 없지만, 초기 단서와 규제 요인들은 L2 디자인이 더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기와의 가능한 용도 중 하나는 한국의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기와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상환하는 안전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면 한국의 암호화폐 유동성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거래소들이 자사만의 블록체인을 통해 유동성을 관리하는 세계적인 추세와 일맥상통하는 방향이다.
기와의 출범은 한국에서 암호화폐 채택이 증가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된다.
업비트는 이미 많은 거래량과 소매 기반 시장을 거느리고 있으며, 거래소에서의 토큰 상장은 종종 급격한 가격 변화를 동반한다.
자체 블록체인을 도입함으로써 업비트는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거래소와 기반 인프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매와 기관에게 로컬 진입점을 제공하여 국내 웹3 허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상호 운용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와가 다른 L2 네트워크나 이더리움과 연결된다면 더욱 의미를 갖게 된다.
이는 바이낸스(BNB 체인)와 코인베이스(베이스 L2)와 유사한 전략으로, 이러한 블록체인 출시를 통해 거래 서비스를 넘어 확장하려는 노력을 반영한다.
규제 측면에서 한국은 암호화폐 플랫폼에 대해 매우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와는 L2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에 더 나은 방안이 될 것이다.
L2 솔루션은 기와가 이더리움 확장 솔루션 또는 유사한 기본 체인이 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하고 빠른 거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관찰자들에게는 상호 운용성이 중심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기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용자뿐만 아니라 국제 유동성 풀과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기와에 대한 티저는 한정된 정보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포럼과 소셜 미디어에서 활발한 논의를 이끌고 있다.
많은 트레이더들은 업비트의 블록체인이 새로운 유동성 경로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소 내 토큰 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암호화폐 관찰자들은 이번 기대감을 2023년에 소개된 코인베이스의 L2인 베이스와 비교하고 있다.
업비트가 유사한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면, 기와는 한국 웹3의 미래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
앞으로는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기와의 설계, 기술적 특징 및 생태계 로드맵이 발표될 예정이며, 이에 대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기와는 한국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올해 가장 중요한 블록체인 개발 중 하나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이미지 출처:cryptoninj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