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군사 훈련 시작
1 min read
서울 –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핵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대규모 군사 훈련을 시작했다.
이번 훈련은 11일간 진행되는 ‘을지 자유의 방패’로, 한국 군인 18,000명을 포함해 총 21,000명의 군인이 참여한다.
훈련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휘소 작전 및 현장 훈련으로 구성된다.
이 훈련은 방어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지만, 북한은 이를 침공 계획의 일환으로 해석하고 이에 대한 군사적 반응을 예고하고 있다.
북한은 오랜 기간 동안 이러한 훈련을 군사적 시위와 무기 시험의 구실로 삼아왔으며, 이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고도화하는 데 기여해왔다.
북한의 노광철 국방부 장관은 지난주 성명에서 이번 훈련이 한국과 미국의 ‘군사적 대결’ 의지를 드러낸다고 밝히고, 북한의 영토에 대한 ‘모든 도발’을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은 새로운 진보적 대통령 이재명 정부에게 중요한 시점에서 펼쳐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오는 8월 25일 워싱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예정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의 비용 증가 요구를 시사하며 오랜 동맹 관계를 전복할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한편, 한반도의 긴장은 여전히 높으며 북한은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재개 요청을 묵살하고 있다.
북한의 김정은 지도자는 최근 무기 프로그램을 가속화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모스크바와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금요일 북한에 대한 최근 메시지에서 2018년 체결된 남북 군사 합의를 다시 복원할 것이라고 밝히며, 북한이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에 응할 것을 촉구하였다.
2018년 군사 합의는 한국의 전임 진보 대통령인 문재인과 김정은 간의 짧은 외교 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국경 지역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해안 및 육상의 완충 구역과 공중 비행 금지 구역을 설정하였다.
하지만 한국은 북한이 남쪽으로 쓰레기를 담은 풍선을 발사하자 2024년에 이 합의를 중단하였고, 최전선 군사 행동 및 선전 캠페인을 재개하였다.
이때 북한은 이미 합의의 이행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이었다.
이재명 정부가 합의 복원에 대한 조치를 취한 것이 훈련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한국의 국방부는 즉각적인 훈련 중단 계획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동시에 동맹국들은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에서 계획된 44건의 현장 훈련 중 절반을 9월로 연기하였다.
미국 군 관계자는 언론의 보도를 부인하며, 축소된 훈련이 북한과의 외교를 위한 여지를 마련하려는 것이 아니라 밝혔다.
이번 접근 방식하에 한국은 북한 위협에 대한 대응에서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며, 미국은 중국에 대한 집중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로 인해 서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줄어들고, 비용과 위험은 증가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지 출처:manila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