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FSC,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2025년 10월 제출 계획
1 min read
한국 금융서비스위원회(FSC)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을 2025년 10월 국회에 제출할 계획을 밝혔다.
이번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규정, 담보 관리, 내부 위험 관리 기준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이 법안은 한국의 디지털 자산 법적 프레임워크를 확장하는 일환으로, 자산 기반 디지털 통화를 위한 규제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8월 18일 열린 스테이블코인 정책회의에서 박민규 의원은 FSC의 제출 계획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법안은 현재 준비 중인 정부의 두 번째 디지털 자산 법안의 일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재명 대통령은 올해 취임 이후 디지털 금융 정책을 국가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그의 정부는 한국 원화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이러한 발전이 세계 금융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국가의 통화 주권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한국의 주요 금융 및 기술 기업들은 이미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사용에 착수하고 있다.
지역 은행과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관련 서비스 준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상표를 신청한 회사들도 여럿이다.
이번 정책 회의에는 네이버와 카카오와 같은 기업의 대표들이 참석하였으며, 한국의 4대 은행인 KB국민, 우리, 신한, 하나의 임원들도 함께 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은행과 결제 부문 간의 공동 네트워크 구축을 지지하여 향후 스테이블코인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종 간 정렬과 혁신을 보장하려고 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이 플랫폼과 기관 간에 서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준수 및 보안 기준을 유지하는 공동의 접근 방식이 권장되고 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 한국 최대 은행의 경영진이 Circle의 사장인 히스 타버트와 서울에서 만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번 만남은 예정된 다음 주에 있을 것으로 보이며, 스테이블코인 분야에서의 협력, 기술 지식 공유 및 파트너십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이 핀테크 기업인 JPYC를 통해 자국의 첫 번째 엔 고정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과 함께 세계적인 발전과 발맞추고 있다.
또한 미국은 최근 연방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는 제너스 법안을 통과시켰다.
한국의 이러한 보완책은 글로벌 활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금융 혁신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비록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통합을 지원하고 있지만, 한국 중앙은행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7월에 원화에 연계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허가된 금융 기관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러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무제한 허가가 한국의 엄격한 외환 규칙에 도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 총재는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정책이나 경제 안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SC의 다가오는 법안은 누가 어떤 조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규정하여 혁신과 통제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지 출처:coincent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