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원들, 한국과 일본 방문하여 해양 선박 건조 협력 방안 모색
1 min read
미국의 의원들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여, 이러한 동맹국들의 조선 산업 전문성과 역량을 활용해 미국의 군사 해양 능력을 증대시킬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일리노이주 상원의원 탐미 덕워스와 뉴저지주 상원의원 앤디 킴은 일요일 서울에 도착한 후 일본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이들은 세계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큰 조선 국가들의 주요 조선업체들과 만나, 미국 해군의 보조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하기 위해 공동 사업을 형성할 가능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덕워스 의원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현재 이라크 자유 작전(2003년) 당시보다 더 적은 선박 건조 능력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는 이 능력을 재건해야 한다. 현재 우리가 보유한 능력은 노후화되고 고장 나며, 수리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비용이 더 많이 든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조선소를 부활시키고 외국 파트너와의 협력 방안을 요구하는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펜타곤은 연례 예산안에서 해양 선박 건조를 위해 470억 달러를 요청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중국에 비해 심각하게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덕워스 의원은 이 출장에서 미국 군대, 미국 기업 및 외국 파트너 간의 공동 사업을 통해 해군을 위한 보조 선박 및 육군을 위한 소형 보트를 건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또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선박을 수리하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가 선박을 미국으로 돌아오게 하고, 수리하는 데 2년을 기다려야 한다면, 이는 상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덕워스 의원은 강조했다.
그녀는 논의의 초점이 해군과 군사 작전을 지원하는 연료와 화물 선박과 같은 비전투 선박인 보조 선박에 맞춰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해군의 보조 함대는 노후화되고 숫자가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2024년 미국 상업 조선은 전 세계 용량의 0.1%를 차지하는 반면, 중국은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
2024년 4월 해군의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주요 조선 프로그램들이 1년에서 3년 뒤처져 있다.
이번 출장 중 의원들은 이 지역의 주요 조선소 대표들과 만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은 이미 조선 협력에서 진전을 이루어오고 있다.
지난 3월 한화오션은 한국에서 41,000톤 규모의 미국 해군 건화물 및 탄약 선박에 대한 유지보수를 완료했다.
이번 수리는 한화그룹이 2024년 7월 미국 해군과 수리 계약을 체결한 이후 첫 번째 프로젝트이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여 대형 상선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예비 보조 함대의 일환이다.
이달 초 한국은 미국 조선 산업에 15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제안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표되었다.
덕워스 의원은 현대중공업과 대화 중 “그들이 미국 내 조선소에 투자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언급했다.
이번 달 중국은 두 개의 국유 조선소를 통합하여 세계 최대 조선 회사를 설립했다.
결합된 중국 조선공사는 항공모함부터 핵 잠수함까지 중국 해군의 전투 선박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조선 시장의 21.5%를 차지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