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미국의 대화 재개 의도에 반박하며 새로운 접근 요구
1 min read
북한 김정은 지도자의 동생인 김여정이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된 미국의 대화 재개 의도를 일축하며, 미국이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여정의 발언은 북한이 핵 능력을 부분적으로 포기할 경우에만 대화에 복귀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외교 재개를 통해 외교적 성과를 이루고자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김정은과의 개인적 관계를 자랑하며 두 사람 간의 핵 외교 재개에 대한 희망을 표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이루어진 2018-19년의 고위급 외교는 김정은이 주요 핵 단지를 해체하는 대가로 광범위한 제재 완화를 요구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면서 무산된 바 있다.
그 이후 김정은은 핵 무기를 현대화하고 확장하는 무기 시험을 실행해 왔다.
김여정은 담화를 통해 형인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개인적인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녀는 만약 이 개인적인 관계가 북한의 비핵화에 기여하지 않는다면 한국의 관점에서는 “조롱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북한의 핵 능력이 김-트럼프 외교의 첫 번째 라운드 이후 급격히 증가했으며,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부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거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여정은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수용하지 않고 실패한 과거에 집착한다면 DPRK-미국 회담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다른 연락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김여정은 북한의 ruling Workers’ Party의 중앙위원회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으며, 북한의 대남 및 대미 관계를 책임지고 있다.
한국의 전문가는 그녀가 오빠 김정은 다음으로 북한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김여정의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비핵화에 관한 대화에 열려 있다는 미국 관리의 발언에 응답하는 모양새다.
그녀는 토요일 연합뉴스에서 인용한 백악관 관계자의 이야기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비핵화에 관해 대화에 관심이 없으며 미국이 먼저 북한에게 어떤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고 남성욱 남북연구원 원장은 설명했다.
남 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에 대한 욕구가 그가 김정은과의 대화를 추구하도록 할 것이라며, 북한의 단계적 비핵화 조치를 위한 상응하는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는 북한이 폭넓은 제재 완화, 미국-한국 군사 훈련 중단, 기타 경제적 인센티브를 원할 것이라 밝혔다.
한국의 군사 문제 연구소 분석가 김열수는 미국과 북한의 관계자들이 대화 복원을 위한 조건에서 차이를 줄일 경우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성이 미국이 어떤 양보를 할지를 극도로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전문가들은 북한이 현재 러시아와의 협력이 확대됨에 따라 미국 및 한국과의 외교 재개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여정은 월요일 한국의 새 진보 정부의 유혹을 일축하며, 미국과의 동맹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와 북한에 대한 적대감으로 인해 기존 보수 정부와 다를 바 없다고 밝혔다.
남 원장은 미국-북한 외교가 조만간 재개될 가능성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조속히 종료되고 미국의 통상 협상이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될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김 분석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가을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 회의에 참석할 경우, 김정은을 만날 기회를 가지거나 한국의 한 접경 마을을 방문할 수 있다고 보았다.
김여정은 월요일 형인 북한의 정상 회의를 초청하는 한국의 아이디어를 “망상”으로 묘사했다.
이미지 출처:abc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