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반부패 기관에 체포되어 구치소로 이송
1 min read
이미지 출처:https://apnews.com/article/south-korea-yoon-martial-law-detain-8dd7f03661be39729741de9a3b5d1714
서울, 대한민국 (AP) — 대한민국의 탄핵된 대통령 윤석열이 수요일 밤, 서울 인근 구치소로 이송되었으며, 이는 지난달 그가 선언한 계엄령에 대한 반부패 기관의 조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진행된 대규모 법 집행 작전 중에 체포되었다.
윤 전 대통령은 그의 행동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반부패 기관과 경찰의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으며, 폭력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협조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역사상 최초의 엇갈린 탄핵을 경험한 현직 대통령으로, 이제 반란 혐의로 긴 형기를 받을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그는 구속되기 직전에 촬영된 영상 메시지에서 “이 나라의 법치가 완전히 무너졌다”고 lamented.
윤 대통령은 몇 주 동안 서울 한남동 자택에 자숙해 왔으며, 자신을 옹호하기 위한 노력을 끝까지 싸우겠다고 다짐하였다.
그는 12월 3일 선포한 계엄령을 “정당한 민주적 통치행위”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의제를 저해하는 “반국가적” 야당에 맞서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부패 수사국과 경찰의 조사관들이 수요일, 그를 체포하기 위해 청와대에 도착했으며,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 집행을 위한 두 번째 시도에서 결국 성공했다.
이번 체포 작전 중 일부 경찰 차량과 경호차량이 동원되어 청와대를 빠져나가는 모습이 목격되었으며, 윤 전 대통령은 이후 인근 광천시의 반부패 기관 사무소에 도착한 모습이 보였다.
그가 소환되는 동안 수백 명의 보수 지지자들이 반부패 사무소 근처에서 시위를 벌였으며, “우리는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싸울 것이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피켓을 들었다.
같은 날, 한 남성이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보이며,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 보도가 있었다.
윤 전 대통령은 10시간 이상 질문을 받은 후 경찰과 경호차량에 의해 우이광의 구치소에 도착했다.
앞으로 윤 전 대통령은 몇 주 또는 몇 달 간 구금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대한민국의 반부패 기관은 윤 전 대통령이 군 법규 위반 및 권력 남용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으며, 그의 공식 구속을 요청할 48시간이 주어졌다고 발표했다.
만약 이 요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는 석방될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구속될 경우, 수사관들은 그의 사건을 공소부에 송치하기 전까지 최대 20일 연장할 수 있다.
그가 반란 및 권력 남용 혐의로 기소될 경우, 일반적으로 첫 판결이 내려지는 시점까지 계속 구금될 수 있으며, 이는 약 6개월의 과정이 소요될 수 있다.
대한민국 법에 따르면, 반란의 수괴는 유죄판결을 받을 경우 사형 또는 무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첫 번째 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하면 구금은 그 상태로 계속된다”고 형사 전문 변호사 박성배가 말했다.
“예를 들어, 무기징역을 선고받는 경우, 그는 바로 형을 해외로 이행하곤 한다.”
윤 전 대통령의 국방부 장관, 경찰청장 및 여러 고위 군 관계자들도 계엄령 집행과 관련하여 이미 체포된 상태이다.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발부된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에는 그가 ‘반란의 주모자’로서 범죄를 저질렀을 것으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반부패 기관은 기자들에게 윤 전 대통령이 저녁까지 몇 시간 동안 질문을 받는 동안 묵비권을 행사했다고 밝혔다.
그의 대통령 권한은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되면서 정지됐다.
탄핵 소송은 현재 헌법재판소에 있으며, 이 재판소는 윤 전 대통령을 공식적으로 면직시키거나 사건을 기각하고 그를 복직시킬 수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이 된 후 페이스북에 게시된 별도의 메시지에서 “계엄령은 범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내세운 이유가 반대 세력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이며, 이들은 법안과 예산을 저지하고 국가 업무의 “마비”를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란 혐의를 부인하며 그의 탄핵을 “사기”로 묘사했다.
청와대에서의 체포 작전이 시작된 이래 경찰과 반부패 조사관들은 청와대 경호원들과의 수 시간 동안의 대치 상황을 겪었으나 실질적인 저항은 없었다.
경찰은 청와대에 접근하기 위해 철조망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절단기를 사용했으며, 몇몇 경찰관들은 휠체어와 함께 버스를 넘는 사다리를 이용해 진입했다.
그들에게는 금색 대통령 마크가 붙은 금속 게이트 앞에 도달한 후에 개방된 보안문으로 들어간다.
그 후, 윤 대통령은 차량에 의해 이송되었다.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이후, 임시 정부인 최상목 부총리가 법 집행 및 청와대 보안 서비스에게 신체 충돌이 없도록 할 것을 우려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그의 구속이 이루어진 후 7개국 외교관들과 만나 정부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보장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을 탄핵하기 위한 입법적 캠페인을 주도한 진보 야당 민주당의 박찬대 원내대표는 그의 구속이 “헌법 질서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윤 대통령의 정당인 국민의 힘당 내의 국회의원들은 그의 구속을 불법이라고 비난하였다.
국립 경찰청은 윤 전 대통령의 체포 계획을 세우기 위해 서울 및 인근 경기도의 현장 사령관과 회의를 열었으며, 이로 인해 1,000명 이상의 경찰이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경찰은 청와대 경호원이 체포 영장 집행에 저지할 경우 구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대통령은 자신을 변호하는 변호사와 참모와 함께 청와대에서 진행되었던 대치 상황을 겪으며, “저는 불법이 계속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정을 내린 것은 안타깝고 불행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윤 대통령 모두의 보호를 바라며 상황을 관찰하였으며, 그의 지지자들과 반대자들은 청와대 근처에서 서로 경쟁있는 시위를 벌였다.
윤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그의 이송을 보고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으며, 일부는 시위 도중 도로에 누워 저항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12월 3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 주변에 군대를 배치하였으나, 해당 조치는 몇 시간만에 종료되었다.
법안 투표를 통해 계엄령 해제가 이루어진 후, 야당 주도의 국회는 12월 14일 그를 반란 혐의로 탄핵하기로 결정했다.
헌법재판소는 탄핵 사건에 대한 첫 번째 정식 심리를 화요일에 가졌지만, 윤 대통령이 출석하지 않으면서 5분도 채 되지 않아 종료되었다.
다음 심리는 목요일에 예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