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2025년 상반기 한국 암호화폐 시장 71.6% 점유
1 min read
2025년 상반기 한국의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 중 업비트가 71.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비트는 833조 원, 약 6420억 달러에 달하는 거래를 처리했다.
반면, 업비트의 가장 가까운 경쟁자인 빗썸은 시장의 25.8%인 300조 원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코인원, 코빗, 고팍스와 같은 소규모 거래소들은 전체 거래량의 5%도 채 안되는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업비트는 하루 평균 4.6조 원, 빗썸은 1.6조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한국 금융감독원(FSS)은 조만간 업비트가 국내 암호화폐 거래의 71.6%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수치는 법률가들과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독점 문제에 대한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업비트의 시장 지배력이 확대됨에 따라 소규모 거래소들은 점점 더 쇠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업비트는 불과 6개월 만에 833조 원(6420억 달러)의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함으로써 업계에서의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내 모든 거래소의 총 거래량은 1162조 원(8950억 달러)으로, 업비트가 월등히 앞서 있는 결과다.
반면 빗썸은 300조 원(2230억 달러)으로, 시장 점유율 25.8%에 그치고 있다.
이 수치는 의원 이헌승의 질의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데이터에서 나온 것이다.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는 인터넷 대기업 네이버와의 합병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합병이 이루어질 경우, 업비트의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위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일 거래량 데이터도 이런 격차를 잘 보여준다.
업비트는 하루 평균 4.6조 원(33억 달러)의 거래를 기록하고 있으며, 빗썸은 1.6조 원(12억 달러)으로 뒤를 잇고 있다.
빗썸은 2026년 나스닥 상장을 준비하고 있지만, 거래 활동 면에서는 여전히 업비트에 크게 뒤처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빗썸이 규제 완화나 새로운 사용자 전략으로 시장 점유율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노력은 여전히 어려운 길이라는 분석이다.
업비트는 한국의 1017만 암호화폐 사용자 중 53%를 보유하고 있으며, 빗썸은 37%에 그치고 있어 두 거래소 간의 격차가 나타난다.
소규모 거래소인 코인원, 코빗, 고팍스는 사용자의 감소와 낮은 거래량으로 인해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
코인원은 20.8조 원(160억 달러)을 처리했지만, 코빗은 5.5조 원(40억 달러), 고팍스는 2.8조 원(21.5억 달러)에 그쳤다.
이들 거래소의 하루 평균 거래량 역시 저조하여 코인원은 1000억 원(7700만 달러), 코빗은 300억 원(2300만 달러), 고팍스는 100억 원(770만 달러)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데이터에 따르면, 코빗의 2022년 하루 거래량은 한때 1000억 원을 넘어선 바 있다.
이들 세 개의 거래소는 전체 사용자 중 단 10%에 해당하는 99만 명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업비트가 상장 및 수수료 정책을 통제할 경우 시스템적인 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러한 독점은 암호화폐 생태계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규제 당국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해야 할 소명이 있다.
전문가들은 업비트가 2024년 한때 8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할 때, 그 규모가 코인베이스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비판자들은 네이버와의 합병이 격차를 더욱 벌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업비트가 무제한적으로 독점화되지 않도록 긴급한 규제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규제가 어떤 형태로 나타날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미지 출처:coincent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