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주 국방 강화 및 방위 예산 증가 발표
1 min read
한국의 대통령이 미국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으로 인해 동맹국으로서의 미국의 안보 약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방위 예산을 대폭 증가시키고 더 자주적인 군사력 구축을 다짐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과 그에 대한 거래적 접근은 많은 한국인들의 미국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그는 한국에 주둔 중인 미국 군대의 비용을 훨씬 더 높이 요구하거나 중국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의 군사적 존재를 축소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수요일 열린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군사 동맹을 “견고하다”고 설명하며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외부 위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국방할 수 있는 강한 군대 구축 의지를 반복적으로 강조했다.
“우리는 자존심과 군사력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강하고 자주적인 방위로 나아가야 합니다.”라고 이 대통령은 말했다.
“대한민국의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우리는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우리의 힘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 대통령은 자주 국방 태세 강화를 위해 내년도 방위 예산을 8.2% 증가시켜 AI 전투 로봇, 자율 드론, 정밀 유도 미사일 등 첨단 무기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방위 산업을 활성화하고 군인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군 복무 조건 및 보상 체계를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평화 통일을 지향하는 진보적인 이 대통령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는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그는 대한민국의 방위 지출이 북한의 국내총생산(GDP)보다 1.4배 많다고 언급했다.
한국의 군 전력을 강화하는 것은 분명히 북한의 잠재적 공격에 대한 억지력을 높이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북한은 최근 이 대통령의 평화 제안에 몇 차례 거부 반응을 보였지만, 트럼프와의 외교 복원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미국의 안보 약속 약화는 한국의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은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의 ‘핵 우산’ 보호를 받고 있다.
미국은 현재 한국에 약 28,500명의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동맹의 민감한 사안 중 하나는 전시 작전 통제권을 한국 장군과 미국 부군 장관의 이원화된 사령부로 이전하는 기존 합의의 이행이다.
현재 한국 군대의 전시 작전 통제권은 주한 미군 사령관이 가지고 있다.
많은 한국인들은 자국 군대의 전시 작전 통제권을 되찾는 것을 국가 주권의 문제로 보고 있지만, 일부는 동맹의 약화를 우려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 양도를 비용 절감의 수단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분석하면서도 한국 반도체의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엘브리지 콜비 전 국방부 전략 담당 차관은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전시 작전 통제권 이전 문제를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 비전이 한국과 같은 유능하고 의지가 있는 동맹국을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믿으며, 한국의 동맹 내 역할 강화를 지지합니다.”라고 콜비는 말했다.
콜비는 한국이 북한에 대한 자주 방어 책임을 주도적으로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수요일 이 양도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대한민국은 워싱턴과 함께 합동 방어 태세를 이끌어 나갈 것이며, 이는 견고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전시 작전 통제를 되찾는 것입니다.”라고 이 대통령은 밝혔다.
“단단한 통합 방어 능력과 태세는 한반도의 평화 및 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안정과 공동의 번영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abc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