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비자 문제 해결 전 $350억 투자 패키지 추진 못할 것
1 min read
한국 정부가 미국 비자 문제를 해결해야만 35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패키지가 추진될 수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장관 조현은 금요일 기자들과의 회견에서 미국과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조 장관의 발언은 조지아주 공장에서의 고위급 급습 이후 나온 것으로, 한국 정부는 미국의 비자 및 관세 관련 분쟁 해결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이민 정책과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그의 의도가 충돌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조 장관은 “이는 한국의 미국 내 투자에 대한 전제조건은 아니지만, 실제로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실질적인 투자가 시작되기 전에 비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달 초, 조지아주에서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300명이 넘는 직원들이 이민 단속으로 구속됐다가 풀려나 고국으로 송환되었다.
이 사건은 기업들로 하여금 한국 전문 인력이 새로운 공장을 세우고 미국 근로자를 교육할 수 있도록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마련할 것을 요구하게 만들었다.
이 사건에 대해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은 “당황스럽다”고 언급하며, 향후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서울이 워싱턴에 앞으로 투자 관련 비자 발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무역부 장관 여한구는 이번 주 워싱턴에서의 회담에서 한국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비자 제한 문제 및 투자 계획에 위협이 되는 다른 장애물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미국이 한국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한 이후, 서울은 협상에 돌입했으며, 7월 말에는 관세를 15%로 낮추는 비공식 합의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두 나라는 이후에도 남아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합의를 보다 포괄적인 양자 무역 협정 내에서 확정짓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에 합의 사항에 한국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35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 측은 이러한 투자를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로 설명하고 있으며, 조선업, 반도체, 2차전지, 생명공학 및 에너지와 같이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산업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서울에게 있어 공정한 조건을 확보하는 것은 Washington과의 경제적 관계를 관리하면서 국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의 시험이 되었다.
한편, 비자 문제는 외국 자본 유치를 시도하는 트럼프의 계획과 공격적인 이민 단속 사이의 모순을 부각시키고 있다.
체포되는 노동자들의 수갑과 쇠사슬이 사진에 담기면서 한국 내에서 큰 분노를 일으켰으며, 이는 동맹국에 대한 배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달 초 한국에서는 시위자들이 트럼프를 조롱하며, 미국이 투자 유치를 원한다고 하면서 노동자를 범법자로 만드는 것에 대한 비난을 쏟아냈다.
한 남성이 들고 있던 팻말에는 “투자하라고 하더니 체포당하게 만드는 거냐! 이게 동맹국에 대한 대접이냐?”라고 적혀 있었다.
이미지 출처:aljaze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