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16, 2025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과 갈등 심화

1 min read

청와대가 25일, 국회에 의해 제기된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 “국회의 의지가 반영된다면 대법원장이 사퇴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청와대 대변인의 브리핑에서 나온 것으로, 행정부와 사법부 간의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나온 드문 개입으로 주목받고 있다.

청와대는 사실상 입법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DPK)을 지지하며, 대법원장 조희대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10월 초 추석 연휴 전까지 사법 개혁 법안을 통과시키고자 하면서 사법부와의 마찰이 발생했는데, 여기에는 특별 재판소와 대법원 확대 등의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전국 판사 협회는 자신들의 항소 시스템 개혁 관련 포럼을 발표하며 반발하고 있어, 법원 내에서 의회의 의제를 저항하는 움직임이 퍼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 대변인 강유정은 브리핑에서 “국회가 논의와 토의를 통해 헌법의 정신과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이는 국민이 선택한 가장 중요한 권위로 간주될 수 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이어 “그런 역사적이고 공적인 요구가 있을 경우, 임명된 권위자인 대법원장은 그러한 요구의 타당성과 이유를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민주당 최초의 사법 개혁안이 통과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대법원장에게 부담을 주는 방향으로 해석되었다.

민주당 의원이자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추미애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 대법원장은 검찰 독재 시대에 침묵했으며, 헌법 수호라는 명목으로 사법 독립을 주장하면서도 진실은 반란자들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의 원내대표인 정청래는 대법원장이 “이재명 정치투쟁의 선봉이 되었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청와대의 발언은 국가의 권력 분립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으나, 청와대 대변인은 자신의 발언이 임명된 기관인 사법부가 선출된 관계자의 권위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해명했다.

강 대변인은 또한 지난 금요일 대법원장이 민주당의 사법 개혁 추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한 것에 대해 언급하며, 대법원 결정 및 판사의 책임을 보다 강화하려는 제안들에 대해서도 소통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녀는 “간접적으로 임명된 권위자들은 국회의 담론을 충분히 존중해야 한다”고 말하며, 청와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또한, 군사법 사태와 관련된 문제를 다룰 특별 재판소 설립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법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주호영 국민의힘 대표는 청와대의 발언에 대해 비판하며, 권력 분립이 무너진다면 국가의 마지막 안전장치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선출된 권력이 모든 기관 위에 설 수 있다는 위험한 발상은 헌법의 근본을 약화시키는 매우 무모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특별 재판소 설치는 헌법에서 보장하는 사법 독립에 위배된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또한, “일부에서는 과거에 특별 재판소가 존재했었다고 주장하지만, 그 경우들은 대개 명시적인 헌법 조항에 기반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민주당의 특별 재판소 제안이 기존 법원 내 전담 재판부와 다르지 않다면, 법원 회의에서 우려를 제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전역의 법원 회장들은 금요일 성명을 통해 “사법 독립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며, 제도 개혁 논의에 법원 참여가 핵심적”이라고 선언했다.

이미지 출처:korea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