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시 성노예 문제에 대한 입장 방어
1 min read
일본 정부가 월요일 한국 법원의 전시 성노예 피해자 보상 판결을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입장을 방어했다.
이와 관련하여 유엔 조사관들은 일본이 피해자들을 위한 진실 파악과 보상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 정부는 일본에 대해 ‘우리의 아픈 역사를 정면으로 직시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일본의 법원 판결 불복종이 피해자들에게 지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명은 미국의 두 아시아 동맹국이 역사적 갈등을 완화시키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여전히 주요한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
유엔 조사관들은 지난 7월 일본과 한국, 그리고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동티모르에게 편지를 보내 이들 국가가 생존자들에게 진실, 정의, 구제 및 보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각국 정부는 60일 이내에 서신에 대해 답변할 것을 요구받았으며, 유엔 웹사이트에는 일본과 한국의 응답만이 게재됐다.
유엔 조사관들은 일본에게 여러 문제를 다루도록 요청했는데, 그중에는 일본의 과거 조사 및 성노예에 대한 보상이 불충분하다는 주장, 국가 및 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의혹, 그리고 2021년부터 2025년까지의 한국 법원 판결 세 건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포함되었다.
일본 정부는 오랜 입장을 반복하며 한국과의 성노예 피해자 보상 문제는 1965년의 국교 정상화 조약과 2015년의 별도 협정을 통해 해결되었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유엔 제네바 영구대표부가 발행한 성명에서는 최근 한국 법원 판결이 그러한 소송에서 국가 면제 원칙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서울에 대해 국제법 위반 사항을 시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일본은 과거 몇 년 동안에 걸쳐 성노예 및 전시 강제 노동 피해자에 대한 한국 법원 판결에 강하게 반발해 왔으며, 일본 정부와 일본 기업이 한국 성노예 피해자와 전시 강제 노동 피해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라는 판결을 거부해왔다.
일본은 이러한 판결이 자신의 주권 면제를 위반하며, 1965년 조약과 상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한국 법원은 주권 면제가 자국 영토 내에서 자국민에 대한 인도에 반하는 범죄 또는 불법 행위에 대해 외국 국가의 책임을 면제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이 법원 명령에 따르지 않자, 일부 한국 전문가와 생존자들, 예를 들어 이영수 씨는 일본과 한국이 성노예 분쟁을 유엔 국제재판소에 공동으로 회부하자고 촉구했지만, 아직까지는 어떤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역사학자들은 일본 군의 성적 착취를 위해 아시아 전역에서 수만명의 여성이 전선 군 위안소에 보내졌다고 전했다.
2015년 협정 당시 서울정부에 피해자로 등록한 239명의 여성 중 46명이 생존하고 있었지만, 현재 한국에는 단 6명만이 남아있다.
일본은 전시 성노예 문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1995년 일본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필리핀, 한국, 대만의 피해자들을 위한 보상 기금을 사적으로 조성했지만, 2007년에 만료되었다.
많은 한국인들은 일본의 과거 발언과 행동이 성실하지 않았으며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못했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보수적인 지도자들이 일본의 전시 잔학 행위를 폄하하거나 의문시한 것은 이러한 인식을 더욱 강화시켰다.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는 역사 문제로 인해 그동안 종종 긴장 상태에 있었지만, 최근 두 나라는 관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북한의 핵 위협을 포함한 지역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의 삼자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yah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