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15, 2025

일본, 전시 성 노예 문제에 대한 입장 방어 및 한국 법원 판결 반박

1 min read

일본 정부는 10월 23일, 전시 성 노예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방어하며 한국 법원이 일본 정부에 보상 명령을 내린 것이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엔 조사관들이 일본과 한국이 피해자들을 위한 진실 발견과 보상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 가운데 나온 반응이었다.

일본 정부는 자국의 공식 입장을 재확인하며, 과거 합의들을 통해 모든 배상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이러한 일본의 입장에 대해 전통적인 역사적 아픔을 직시할 것을 촉구하며, 일본의 법원 명령 불이행이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지 못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7월 유엔 조사관들은 일본, 한국,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동티모르 등 여러 국가에 성 노예 피해자에 대한 진실 접근과 정의, 보상 확보 실패에 대한 내용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

일본의 서울 주재 영사관은 1965년 한일 관계 정상화 조약과 2015년 성 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합의가 모든 배상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며, 최근 한국 법원 판결이 국가 면책 원칙을 위반했다고 반박했다.

일본의 성 노예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는 역사적 사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법원의 판결이 자국의 주권 면책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서울이 국제법을 위반한 점을 시정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일본은 한국에서 성 노예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강하게 거부해 왔으며, 이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또 다른 유산으로 전시 강제 노동과 관련된 법원 판결에서도 마찬가지다.

일본의 주장은 여전히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의 법원은 외국 국가가 인도에 반하는 범죄나 부정한 행위에 대해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이 법원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서, 일부 한국의 전문가들과 피해자들은 이 문제를 유엔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할 것을 제안했지만, 아직까지 진행된 사항은 없다.

역사학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 군대가 성매매를 위한 전선에 수많은 아시아 여성들을 보내고, 이 가운데 많은 여성이 한국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2015년 당시 서울 정부에 등록된 239명의 여성 중 46명이 생존하고 있었으나,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피해자는 6명뿐이다.

일본은 전시 성 노예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유감을 표명해 왔으며, 1995년 일본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피해자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민간 자금으로 기금을 조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일본 정부의 과거 발언과 행동이 진정성이 부족하며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보수 정권이 일본의 과거를 경시하거나 의문을 제기한 데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일본과 한국 간의 관계는 역사적 이슈로 인해 여러 차례 긴장이 있었으나, 최근 두 나라는 양자 관계를 개선하고, 미국과의 삼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더 적극적인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북한의 핵 위협 등 지역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미지 출처:abc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