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서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300명 이상 귀국
1 min read
애틀랜타 — 조지아의 배터리 공장에서 이민 단속을 받았던 한국인 근로자 300명 이상이 목요일 정오 직전에 애틀랜타를 떠나 한국행 비행기에 탑승했다.
근로자들은 이날 아침 조지아 남동부의 구금센터에서 애틀랜타까지 버스를 타고 이동했으며, 비행기는 금요일 오후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미국 당국이 석방한 구금자에는 316명의 한국인과 10명의 중국인, 3명의 일본인, 1명의 인도네시아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 근로자들은 사바나 서쪽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대규모 자동차 공장 캠퍼스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약 475명과 함께 체포되었다.
지난주 단속 이후 이들은 애틀랜타에서 285마일(460킬로미터) 떨어진 폭스턴의 이민 구금센터에 수용되어 있었다.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은 목요일 미국의 비자 시스템 개선을 촉구하며,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를 꺼릴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구금자들이 애틀랜타로 이동하는 동안 수갑을 차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한국 측이 강력히 반대했음을 언급했다.
또한, 그들이 ‘자발적 귀국’ 하거나 추방되느냐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미국 당국은 구금자들의 소지품을 반환하기 시작했으나 그 과정이 갑자기 중단되었다고 이 대통령은 전했다.
그는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구금자들이 자율적으로 귀국할 수 있도록 하라는 지침을 내렸으며,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돌아가지 않아도 된다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에 따르면, 이 지침으로 인해 구금자 송환 과정이 일시 중단되었고, 행정 절차가 변경되었다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 외교부 관계자는 구금자들이 미국에 머물며 미국 근로자들을 교육하는 데 계속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한국의 의견을 듣기 위해 트럼프가 절차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결국, 미국에 친척이 있는 한 한국인은 머물기를 선택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추방 정책은 여러 차례의 직장 단속을 포함해왔으나, 이번 단속은 규모와 지방 정부가 조지아의 최대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평가하는 제조 시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이 76억 달러 규모의 공장에서 지난해 전기차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약 12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 사무소는 수요일 성명을 통해 “한국 공화국 및 현대차와의 강한 관계를 강조하고, 서울에 조지아 무역 사무소가 설립된 지 40년이 되었다”며 “이 unfortunate incident이 우리가 함께 쌓아온 수십 년의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무너뜨리지 않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인 구금자들이 이번 단속에서 잡힌 경우가 드물다는 점에서 그 단속은 특이한 사건으로 남았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토요일에 공개한 비디오에 따르면, 연방 요원들이 차량 행렬을 이끌고 근로자들을 밖으로 집합시키는 장면이 담겨 있다.
일부 구금자들은 버스에 타기 전 손을 올리게 하였고, 그 후 손목, 발목 및 허리에 수갑을 채웠다.
또한 다른 구금자들은 조지아 주 전송 버스에 탑승하기 전 손목에 플라스틱 타이가 채워졌다.
이미지 출처:wv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