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한미 무역협상에서 한국 방위비 증가 요구 검토
1 min read
워싱턴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미 무역 협상 중 한국에 방위비를 GDP의 3.8%로 증가시킬 것을 요구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포스트가 입수한 초기 초안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방위 예산이 지난해 2.6%에 머물러 있었던 것에 대해 증가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또한 한국이 주한 미군 28,500명의 주둔 비용 분담을 늘릴 것을 요구했으며, 서울이 ‘중국의 위협을 억제하면서 북한을 계속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유연한 주한미군(USFK)의 군사 태세’를 지지하는 정치적 성명도 발표할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실제로 이러한 요구를 무역 협상에서 제시했는지는 불확실하다. 두 정부의 무역 협정 공동 발표가 7월 30일 있었지만, 보안 문제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서울 측은 당시 방위비 분담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방위비 증가와 주한 미군 비용 분담 확대, 전략적 유연성 증대에 대한 명확한 약속을 본격적으로 요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요구 사항이 8월 25일 워싱턴에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식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펜타곤 대변인 킹슬리 윌슨은 한미 동맹의 현대화는 한반도 및 그 너머에서 신뢰할 수 있는 억제력을 보장하기 위해 동맹의 통합 방어 태세를 조정하고, 상호 운용성을 심화시키며, 육상, 해상, 공중 및 사이버 공간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그녀가 한반도와 그 너머에서의 억제력에 대한 언급은 동맹의 목표가 중국의 힘을 통한 현상 변경 시도를 억제하는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윌슨 대변인은 “우리는 부서로서 그 극대화된 기회를 활용하려고 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방위장관인 피트 헤그세스가 인도-태평양 지역을 ‘우선순위’ 극장으로 언급하면서, 한미 동맹이 북한의 공격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지역 안보 환경에 대응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등 여러 정부에 대한 방위비 증가 요구 및 미국 군사 장비 구매 촉구를 계획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파워 사용에 있어 관세의 자유로운 활용은 공개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더 광범위했을 수도 있다”는 보고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최근 그는 인도에 대해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중단하라는 압박 차원에서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위협한 사례가 부각되었다.
이미지 출처:koreajoongangda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