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공지능 기반 모델 개발을 위한 정예 팀 선정
1 min read
네이버 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 리서치가 정부 지원을 통해 한국의 국가 인공지능 기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정예 팀으로 선정됐다.
네이버 클라우드, LG AI 리서치, 업스테이지는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팀으로, 예상대로 자리를 차지했으며, 게임 개발사 NC소프트의 자회사인 NC AI도 선정되었다. 반면 카카오는 최종 선정에서 제외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 심사와 발표 평가를 거쳐 일요일 최종 후보 5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initiative는 이재명 대통령의 ‘모두를 위한 AI’ 공약의 일환으로, 한국을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만들기 위한 목표를 갖고 있다.
선택된 컨소시엄들은 K-AI라는 국가 AI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그래픽 처리 장치와 데이터셋 등 정부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한 모델이다.
평가의 주요 기준 중 하나는 팀들이 독립적인 AI 모델을 기본부터 구축하기 위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였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개 팀 모두 이 핵심 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체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한국의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공공의 AI 기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강력한 오픈 소스 정책도 제안했다.
각 컨소시엄은 고유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 네이버 클라우드 팀은 네이버, 트웰브랩스, 서울대학교 연구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모달리티에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옴니 기반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스테이지의 컨소시엄에는 노타, 래블업, 플리토, 비유노, 마키나락스가 포함되어 있다.
SK텔레콤의 컨소시엄에서는 크래프톤, 포르티투닷, AI 칩 제조사 리벨리온스, 스타트업 라이너와 셀렉스타가 협력하고 있으며, 현재의 국내 언어 모델을 초월하는 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하고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NC AI를 이끄는 컨소시엄은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KAIST와 POSCO DX와 같은 주요 대학들이 포함되어 있다.
LG AI 리서치 컨소시엄은 LG 유플러스, LG CNS, 푸리오사AI, 한컴, 리디드의 루닛 테크놀로지와 협력하여 엑사원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K-엑사원 모델을 출시해 글로벌 프론티어 모델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선정된 5개 팀은 국립기록원, 한국역사연구원, 통계청, 한국지식재산사무소, 국가 방송사 등의 Institutional 데이터셋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또한 정부 예산을 통해 지원되는 엔비디아 그래픽 처리 장치(약 1,576억 원, 약 1억 2천만 달러)를 단계적으로 지원받을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후보 팀을 4개로 좁히고, 2026년 말까지 최종 2개 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평가 과정의 일환으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전국 대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최종 선정된 두 팀은 2027년까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이미지 출처:do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