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6, 2025

시카고, 기업 헤드세 도입 재고 중…경제에 대한 영향 우려의 목소리 커져

1 min read

브랜든 존슨 시카고 시장이 2026 회계연도에 11억 2천만 달러의 적자가 예상됨에 따라, 이미 실패한 정책인 기업 헤드세를 재도입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신 비용 절감, 예산 한도 설정, 연금 개혁 등의 방법을 통해 재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존슨 시장은 7월 29일 시카고에서 50명 이상의 직원을 둔 기업에 직원 당 4달러의 세금을 부과하는 헤드세 도입을 거론했다.

이 세금은 2,56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그 수익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시카고는 1973년부터 2014년까지 유사한 헤드세를 시행했지만, 이는 경제 성장에 필요한 고용 창출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번 세금이 기업의 고용을 더욱 비싸게 만들어 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세금은 기업들이 직원을 늘리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 사실상 시카고가 직면한 5.3%의 실업률과 느린 경제 성장 속에서 치명적이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시카고를 떠나는 상황에서 기업들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시애틀의 경우도 2018년에 기업 헤드세를 시행하려 했으나, 아마존과 같은 대기업의 반발로 인해 한 달 만에 철회되었다.

반면, 시카고 기업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으며, 시카고랜드 상공회의소의 잭 라빈 CEO는 이러한 세금이 기업의 유입 및 고용 창출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시카고는 이미 지난 2020년 이후로 캐터필러, 보잉, 타이슨 푸드와 같은 주요 기업들이 이전한 상태로, 추가적인 기업 떠나는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그렇다면 시카고는 어떠한 대안을 찾아야 할까?

첫 번째로, 비용을 줄여야 한다.

가족 지원 서비스, 공공 건강, 혁신 및 기술 부서의 예산은 2019년 이후로 각각 80% 이상 증가했다.

따라서 정부는 프로그램, 인력, 계약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에 필요한 절감 방안을 찾아야 한다.

두 번째로, 예산 한도를 설정해야 한다.

시의 지출 성장은 시민들이 실제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10년 평균 소비자 물가 지수 성장률에 연간 지출 증가를 묶어 안정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금 비용을 줄여야 한다.

43개 주보다 더 많은 연금 부채를 안고 있는 시카고는 재정 문제 해결을 통해 납세자들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

시카고는 일자리 창출과 성장을보고자 한다면 더 이상 세금을 통해 기업을 괴롭히는 것을 멈추고, 기업들이 확장하고 싶어하는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

이미지 출처:illinois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