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CES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발표
1 min read
이미지 출처:https://www.kedglobal.com/korean-innovators-at-ces-2025/newsView/ked202501090006
한국의 대표 가전 제조업체 LG전자가 CES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하며 로봇 분야에서의 경쟁을 선언했다.
LG전자의 최고경영자(CEO)인 조주완은 2025년 1월 8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프레스 이벤트에서 “로봇은 분명 인류의 미래”라고 강조하며, “LG전자는 로봇 레이스의 중심에서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미 LG CLOi ServeBot 및 GuideBot와 같은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며 로봇 사업을 해오고 있지만, 이번 발표로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와 같은 경쟁사들과 겨루게 된다.
이들 경쟁사들은 인간형 로봇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인간 형태를 본딴 이족 AI 로봇을 설계하여 인간과 협력해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LG전자는 올 하반기 기초 모델인 AI 에이전트 Q9을 출시할 계획으로, 2월과 3월 베타 테스트를 거칠 예정이다.
LG전자의 부사장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김병훈은 “회사는 Q9에 사용된 인지 및 관절 기술을 기반으로 손 제스처와 보행과 같은 휴머노이드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LG전자는 미국의 테크 대기업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하며, 이들 업계 선두 기술을 결합해 인공지능 혁신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두 기업은 가정, 차량, 호텔 및 사무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될 Q9을 포함한 AI 에이전트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진전시키기로 했다.
최근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테슬라는 지난해 두 번째 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를 소개하고 올 연내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혼다와 현대차가 소유한 보스턴 다이내믹스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LG전자는 AI 에이전트 Q9를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AI 스마트 홈 플랫폼인 LG ThinQ와 동기화하여 올해 9월 한국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조 CEO는 가전 구독 및 플랫폼 비즈니스를 중장기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구독 사업을 10조 원(68억 달러), 플랫폼 사업 매출을 3배 및 5배로 증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LG전자의 가전 구독 매출은 2조 원으로, 전년도 대비 7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웹OS 기반 광고 및 콘텐츠 매출은 1조 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조 CEO는 “수리 및 부품 교체 서비스인 케어 서비스가 구독 사업의 중심에 있다”며, 약 5,000명의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회사의 가전 기기 관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2023년 7월 발표한 비전 2030에 따라 플랫폼 기반의 기술 대기업으로 변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인도 시장에서의 상장 계획에 대해 조 CEO는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에서 국가 브랜드로서 또 다른 도약을 꾀할 것”이라고 전하며, IPO는 올해 4월 또는 5월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LG전자는 2024년 4분기 실적 정정을 통해 전년 대비 54% 감소한 1,46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고하며, 매출은 22.78조 원으로 보고했다.
2024년 잠정 영업이익은 3.43조 원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지만, 역대 최대 매출인 87.74조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6.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