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 방위비 분담 재조정 요구하며 발언 재점화
1 min read
이미지 출처:https://www.rfa.org/english/news/korea/trump-usfk-sma-10162024034010.html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한국과의 방위비 분담 논란에 다시 불을 지폈다.
그는 백악관에 있었다면 한국이 주한미군(USFK) 주둔 비용으로 매년 100억 달러를 지불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최근 한국과의 방위비 분담 협정이 체결된 직후에 나왔다.
이 협정은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증가시키는 내용이지만, 트럼프가 주장하는 금액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내가 지금 그 자리에 있었다면, 그들은 우리에게 연간 100억 달러를 지불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그렇게 하는 것이 기쁘기까지 할 것이다,”라고 트럼프는 시카고 경제 클럽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한국을 “돈 기계”라고 표현하며, “우리는 4만 명의 군인이 위험에 처해 있다.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북한은 매우 강력하게 군비를 확장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나는 한국에 ‘당신들이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렇게 하는 데 동의했고, 바이든이 이를 축소했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라고 이야기했다.
이번 달 초, 미국과 한국은 방위비 분담 협정인 특별우려사항 합의(SMA) 협상을 마무리했다.
이 합의는 한국이 주한미군의 유지비를 어느 정도 부담할지를 결정하는 내용이다.
1991년부터 한국은 SMA를 통해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 군사 시설 건설 및 기타 물류 지원 비용의 일부를 부담해왔다.
새로운 합의에서는 2026년까지 한국이 1.52조 원(11억 4천만 달러)을 지불하기로 했으며, 이는 2025년의 1.4조 원에서 증가한 금액이다.
이 합의는 한국 소비자물가 지수에 따라 매년 한국의 SMA 기여금이 증가하는 형태로 링크되어 있다.
현재 협정은 2025년 말까지 유효하지만, 양측 모두 2024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이 협정을 신속히 마무리해야 한다고 느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방위비 분담 협상은 긴장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2026년부터 한국이 USFK 주둔 비용의 최대 400%를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협정의 대부분의 조건을 협상했지만,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몇 달 후인 2021년 3월에 발효되었다.
이로 인해 바이든 행정부는 마지막 단계에서 협정을 변경할 수 있었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새로운 협정 협상이 마무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협정 재협상을 강하게 추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재부각되고 있다.
지난 8월, 전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H.R. 맥마스터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트럼프가 한국이 USFK 주둔 비용을 전액 부담하기를 원했으며, 이익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별도로, 트럼프는 올해 5월 한국이 더 많은 재정 지원을 하지 않으면 미국이 한국에서 군대를 철수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방위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의 안정성과 미국 동맹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국 반도체의 글로벌 공급망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의 전투군 주둔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미군 주둔이 북한의 잠재적 위협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군은 중국의 공격성에 대응하여 이 지역 내 미국의 존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내에서는 SMA가 국가에 지나치게 재정적 부담을 준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한국이 주한미군 비용의 공정한 몫을 이미 부담하고 있으며, 추가 인상은 국가 예산을 압박하고 동맹에 대한 여론을 약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 자금이 한국의 안보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광범위한 미국 군사 목표에 사용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